 |
par***** |
clee2**님 말씀 공감하는 부분이 항시 라는 말 없다는거 운영자님은 운영방침 토대로 이야기 합니다 2017-02-05 오후 5:39:00
|
|
 |
par***** |
녹화시스템이면 그걸 보고 판단 하겠죠 2017-02-05 오후 5:38:00
|
|
 |
par***** |
문제가 있는게 확인할 길 없다는겁니다 녹화 시스템 동원하지 않는이상은 저분이 차후 확인이라 그 확인 정확하지 않죠 2017-02-05 오후 5:37:00
|
|
 |
cl***** |
운영자의 시각에서 바라보면 이렇게 해석할 여지도 있다~ 라고 말씀하시는건 이해가 되지만 운영자의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한다! 는 동의하지 않습니다. 2017-02-03 오후 6:04:00
|
|
 |
cl***** |
운영자의 시작에서 보라는건 소비자를 개돼지로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요.. 정책을 만들었으니 너희들은 그냥 따르기만해? 인가요.. 2017-02-03 오후 6:03:00
|
|
 |
cl***** |
정부의 정책은 공무원 입법자가 만드니 그들의 시각에서 보아야 한다는 말씀이신가요? 수혜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바라보는게 더 바람직 하지 않나요? 이도 마찬가지로 보입니다. 이 운영정책의 목적이 운영을 잘하기위함인데 이것이 운영진의 일신영달을 위한 것이냐 소비자들을 위한것이냐가 중요하죠. 2017-02-03 오후 6:03:00
|
|
 |
cl***** |
임시압류의 부분에 대해서는 부작용 방지라는 취지를 인정합니다. 2017-02-03 오후 5:57:00
|
|
 |
cl***** |
천상비를 무조건 까고자 하는게 아닙니다. 이와 마찬가지로 scu12** 님도 무작정 옹호하려고 하지는 않으셨으면 하네요. 2017-02-03 오후 5:56:00
|
|
 |
cl***** |
논점은 1. 불확정개념의 해석여부 2. 신고의 요건 강화로 인해 실질적 신고 가능성 저하 여부 3. 재량으로 둔 문언의 한계 날짜 범위의 한계에 대한 적절성 입니다. 그러나 scu12** 님께서는 이에 대해서는 말씀하시지 않고 있으시죠. 2017-02-03 오후 5:56:00
|
|
 |
cl***** |
새로바뀌는 정책이 모두 문제가 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. 문제가 되는부분과 안되는 부분이 있는데 이 두가지가 혼재함으로써 이전보다도 더 못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이야기 하고 싶은 것입니다. 2017-02-03 오후 5:49:00
|
|